개인정보취급방침

이 사이트(www.kiri.or.kr)는 보험연구원의 소유 입니다.

개인정보의 수집목적 및 이용

보험연구원은 회원에게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고객정보 외에는 불필요한 정보 수집을 하지 않습니다. (단, 필수 기재 항목 외에 선택항목에 대한 정보 수집은 예외로 합니다.) 회원으로부터 취득한 정보는 회원가입 및 이용 ID 발급, 회원 개인정보를 이용하는 서비스, 회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 계약의 성립 또는 인구 통계학적 분석 (회원의 연령별, 성별, 지역별 통계 분석), 회원의 서비스 이용에 대한 통계를 수집하고, 이를 서비스 방침에 반영 (서비스 개편 및 확대) , 기타 새로운 서비스, 행사나 자료 정보 안내에만 사용될 것입니다. 회원으로 가입할 때 수집된 모든 정보는 해당 서비스 제공이나 회원님께 사전에 밝힌 목적 이외의 다른 어떠한 목적으로도 사용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의 수집 항목

필수정보 : 아이디, 비밀번호, 성명, 전화번호, 직업, 직급, 부서, 이메일, 뉴스레터 수령여부
기타 : 홈페이지 가입경로, 흥미사항, 보험연구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구분사항

회원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안전조치

회원의 개인 정보는 회원이 로그인 했을 경우에만 보이며, 이것은 회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에 의해 관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회원에게 부여된 회원아이디 및 패스워드의 관리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특수한 경우, 허가 받은 관리자만이 회원 정보를 수정, 조회하고 있습니다.

회원 정보의 열람 및 정정 방법과 절차

회원은 자신이 제공한 회원 정보를 열람 할 수 있으며, 수정을 요구할 권리와 삭제를 할 권리(탈퇴의 권리포함)가 있습니다. 회원 정보의 열람 및 수정은 회원정보 수정을 통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언제든지 하실 수 있습니다. (단, 회원정보 수정의 경우, 아이디나 성명, 주민등록 번호의 변경은 가입회원 실명제 정책에 따라 회원님께서 직접 수정하실 수 없으나, 보험연구원(http://www.kiri.or.kr)의 관리자 (kiriweb@kiri.or.kr) 에게 메일로 요청하면 24시간 내에 처리됩니다.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

보험연구원에서는 회원가입을 원하시는 고객에게 보험연구원의 개인정보취급방침 또는 이용약관 내용에 대해 <동의함> 혹은 <동의하지 않음> 버튼을 클릭 할 수 있는 절차를 마련하여, <동의함> 버튼을 클릭한 경우에만 개인정보 수집에 대해 동의 한 것으로 봅니다.

회원가입 가입과 탈퇴의 자유

회원가입은 반드시 이용약관의 동의 절차를 거치며, 회원 탈퇴 시에도 탈퇴에 따른 개인정보의 폐기와 회원으로서 권리소멸 등을 명확히 고지하는 절차를 거칩니다. 탈퇴를 희망할 시에는 사이트의 회원탈퇴 메뉴를 통해 정해진 순서에 의해 처리할 수 있습니다. 또는 보험연구원의 관리자 (kiriweb@kiri.or.kr)에게 메일로 요청하시면 처리 됩니다. (* 주의 : 회원 탈퇴를 하시면 그 즉시 모든 고객정보와 기록이 재생 불가능 하도록 폐기되며, 아이디 및 기타 정보 사항의 권리도 함께 사라집니다.따라서 복구 요청 시 불가능 하므로 신중하게 하셔야 합니다.)

개인정보의 보유 및 이용기간과 공유 및 3자 제공

회원의 개인정보는 보험연구원 회원으로서 서비스를 받는 동안 계속 보유하며, 서비스 제공을 위해 이용합니다. 회원의 정보는 회원 탈퇴 시 재생이 불가능 하도록 완전 삭제 됩니다. 회원님의 개인정보는 정보통신망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24조의 규정에 따라 타인에게 제공, 활용시 본인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정보입니다. 보험연구원은 법률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회원님의 동의 없이 회원님의 개인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지 않습니다.

개인정보 관리

보험연구원은 개인정보 보호 및 서비스 이용에 대한 각종 활동에 대하여 회원들의 의견과 불만을 제기 할 수 있는 창구를 개설하고 있습니다. 개인 정보와 관련한 불만이 있으신 분은 보험연구원의 관리자 (kiriweb@kiri.or.kr)에게 의견을 주시면 즉시 접수,조치하여 처리결과를 통보해 드립니다.

개인정보보호책임자

성명 : 김형길
직위 : 담당역
전화 : 02-3775-9119
주소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38 (여의도동 35-4)
이메일 : kiriweb@kiri.or.kr

근무시간

평일 : 09:00~ 18:00
토요일 및 휴일 제외

이용약관

제1장 총칙

제1조 목적

이 약관은 보험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사이트(이하 "KIRI"라 합니 다)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관련 서비스의 이용조건 및 절차에 관 한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2조 정의

(1) "KIRI"이란 보험연구원이 운영하는 사이트 ( http://www.kiri.or.kr )를 말합니다.
(2) "이용자"란 KIRI에 로그인하여 본 약관에 따라 "KIRI"가 제공 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또는 비회원을 말합니다.
(3) "회원"이라 함은 "KIRI"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회원등록을 한 자로서 "KIRI"의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받으며, "KIR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계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를 말합니 다.
(4) "비회원"이라 함은 회원에 가입하지 않고 "KIRI"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자를 말합니다.

제3조 약관의 효력과 변경

(1) 본 약관은 이용자에게 공시함으로써 효력을 발생합니다. (2) 보험연구원은 본 약관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약관은 "KIRI" 화면에 별도 공지하게 됩니다.
이용자가 변경된 약관에 동의하지 아니하는 경우 이용자는 본인의 회원등록을 취소할 수 있으며, 계속 사용하는 경우는 약관 변경에 대한 동의로 간주됩니다.
변경된 약관은 전항과 같은 방법으로 효력을 발생합니다.

제4조 약관 외 준칙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 국내 관계법령에 규정되어 있 을 경우에는 그 규정에 따릅니다.

제2장 회원 가입과 서비스 이용

제1조 이용 계약의 성립

(1) 이용 계약은 이용자의 이용 신청에 대한 보험연구원의 이용 승낙과 이용자의 약관 내용에 대한 동의로 성립됩니다. (2) 회원에 가입하여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희망자는 보험 연구원에서 요청하는 개인 신상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이 용자가 제공한 개인정보는 본 약관에 따라 철저히 보호됩니 다.

제2조 이용 신청의 제한

(1) 보험연구원은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이용계약신청에 대하 여는 이를 승낙하지 아니합니다.
① 다른 사람의 명의를 사용하여 신청하였을 때
② 이용 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하여 신청하였을 때
③ 사회의 안녕 질서 혹은 미풍양속을 저해할 목적으로 신청하 였을 때
④ 부당한 목적으로 회원의 가입 탈퇴를 월 3회 이상 반복하는 경우
⑤ 기타 보험연구원이 정한 이용 신청 요건이 미비되었을 때

제3조 서비스 이용

(1) 서비스 이용은 보험연구원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 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을 원칙으로 합니다.
(2) 제1항의 이용시간은 정기점검 등의 필요로 인하여 보험연구 원이 정한 날 또는 시간은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3) 제2항의 경우에는 사전에 중단 사유와 기간을 공고합니다. 다만,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경우 사전공고는 생략될 수 있 습니다.

제3장 책임

제1조 보험연구원의 의무

(1) 보험연구원은 이 약관에서 정한 바에 따라 계속적, 안정적 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의무가 있습니다.
(2) 보험연구원은 이용자의 개인신상정보를 본인의 승낙없이 타 인에게 누설, 배포하지 않습니다.
다만, 전기통신관련법령 등 관계법령에 의하여 관계 국가기 관 등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3) 보험연구원은 이용자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 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즉시 처리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합니다.
(4)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원하지 않는 영리목적의 광고성 전 자우편을 발송하지 않습니다.

제2조 이용자의 의무

(1) 아이디와 비밀번호에 관한 모든 관리의 책임은 이용자에게 있습니다.
(2) 자신의 아이디가 부정하게 사용된 경우, 이용자는 반드시 보 험연구원에 그 사실을 통보해야 합니다.
(3) 비밀번호 분실시 통보는 e-mail로 안내하며, 제 2항의 규정 에도 불구하고 회원의 e-mail 주소 기입 잘못 등 본인 과실 및 본인 정보 관리 소홀로 발생하는 문제의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4) 이용자는 이 약관 및 관계법령에 규정한 사항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제4장 계약 해지 및 서비스 이용제한

제1조 계약 해지 및 이용제한

이용자가 이용 계약을 해지 하고자 하는 때에는 이용자 본인이 직접 온라인을 통해 회원탈퇴 메뉴를 선택하여 해지 신청을 하 여야 합니다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다음 사항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을 경 우 사전 통지 없이 이용 계약을 해지하거나 또는 기간을 정하여 서비스 이용을 중지할 수 있습니다.

(1) 공공 질서 및 미풍 양속에 반하는 경우
(2) 범죄적 행위에 관련되는 경우
(3) 이용자가 국익 또는 사회적 공익을 저해할 목적으로 서비스 이용을 계획 또는 실행할 경우
(4) 타인의 서비스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도용한 경우
(5) 타인의 명예를 손상시키거나 불이익을 주는 경우
(6) 같은 사용자가 다른 아이디로 이중 등록을 한 경우
(7) 서비스에 위해를 가하는 등 서비스의 건전한 이용을 저해하 는 경우
(8) 기타 관련법령이나 보험연구원이 정한 이용조건을 위배하는 경우

제2조 이용 제한의 해제 절차

(1) 보험연구원은 제1조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제한을 하고자 하 는 경우에는 그 사유, 일시 및 기간을 정하여 서면 또는 회 원등록시 기재한 전화나 e-mail 등의 방법에 의하여 해당 이용자 또는 대리인에게 통지합니다.
다만, 보험연구원이 긴급하게 이용을 정지할 필요가 있다 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2)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이용정지의 통지를 받은 이용자 또 는 그 대리인은 그 이용정지의 통지에 대하여 이의가 있을 때에는 이의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3) 보험연구원은 제2항의 규정에 의한 이의신청에 대하여 그 확인을 위한 기간까지 이용정지를 연기할수 있으며, 그 결과 를 이용자 또는 그 대리인에게 통지합니다.
(4) 보험연구원은 이용정지 기간 중에 그 이용정지 사유가 해소 된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 이용정지 조치를 즉시 해제합니다.

제3조 이용자의 게시물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KIRI"에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내용물이 다음 각 사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전 통지없이 삭 제 할 수 있습니다.

(1) 다른 이용자 또는 제 3자를 비방하거나 중상모략으로 명예 를 손상시키는 내용인 경우
(2) 공공질서 및 미풍양속에 위반되는 내용인 경우
(3) 범죄적 행위에 결부된다고 인정되는 내용인 경우
(4) 제3자의 저작권 등 기타 권리를 침해하는 내용인 경우
(5) 기타 관계 법령이나 보험연구원에서 정한 규정에 위배되는 경우

제5장 저작권의 귀속

(1) "KIRI"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 및 기타 지적재산 권은 보험연구원에 귀속합니다.

(2) 이용자는 "KIRI"(이메일서비스 포함)를 이용함으로써 얻은 정 보를 보험연구원의 사전 승낙없이 복제, 송신, 출판, 재배포, 방송, 기타 방법에 의하여 영리목적으로 이용할 수 없습니다.

(3) "KIRI"에서 링크를 통해 제공하는 다른 사이트의 비밀 보장과 그 사이트의 내용에 관해서 보험연구원은 책임지지 않습니 다.
보험연구원은 이용자가 "KIRI"에 게시하거나 등록하는 내용 물이 다음 각 사항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사전 통지 없이 삭제할 수 있습니다.

(부칙)

제1조 시행일
이 약관은 2008년 6월27일 부터 시행합니다.

이메일무단수집거부

보험연구원은 정보통신망법 제50조의 2, 제50조의 7 등에 의거하여 본 웹사이트에 개제된 이메일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메일 주소를 무단으로 수집하는 행위를 거부합니다.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뒤로 가기
연 구

보고서

표지이미지

[권호 : 24-01] 임베디드 보험의 사업모형 사례

2024-12

저자 : 이정우,손재희,강윤지

본고는 임베디드 보험(Embedded Insurance)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와 사업모델 사례를 제공한다. 임베디드 보험은 소비자가 별도로 보험을 탐색하지 않고 제품이나 서비스 구매 과정에서 동시에 보험이 제공되는 방식이다. 이는 소비자에게 더 큰 편리성을 제공하고, 보험회사에는 새로운 시장 기회를 제공한다.

임베디드 보험의 대표적인 유형으로는 소비자가 명시적으로 보험에 가입을 선택하는 Opt-in 방식, 기본적으로 보험이 포함되어 있으나 소비자가 원할 경우 해제할 수 있는 Opt-out 방식, 그리고 제품이나 서비스에 필수적으로 보험이 포함되는 완전결합 방식이있다.

임베디드 보험의 주요 사업 모형으로는 비금융업자와 보험회사가 직접 협력하는 모형, 핀테크 혹은 인슈어테크가 중개자로 개입하는 모형, 그리고 핀테크/인슈어테크가 직접 비금융업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모형이 있다. 이러한 모형은 다양한 비금융업자와 보험회사의 협력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임베디드 보험은 소비자의 일상속에서 자연스러운 보험소비를 발생하게 하는 소비자 중심 보험상품이자, 보험회사에는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모형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정보 이용, 보험판매에 있어 상품 설명의 의무, 소비자의 보험선택권 등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여러 우려를 내포하기도 한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임베디드 보험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제공 회사들에 대한 적절한 규제의 마련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아직 국내 임베디드 보험은 초기 단계이나 디지털 기술 및 방대한 데이터를 활용한 소비행태의 변화를 고려할 때 향후 임베디드 보험 및 금융의 성장은 우리의 예상을 뛰어넘을 수도 있다. 이에 대비하기 위해 해외 임베디드 보험의 다양한 사례와 전략을 면밀하게 살펴보고 이를 국내에 적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나아가 임베디드 보험 구매 시 발생 가능한 소비자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규제 마련이 요구된다.

Ⅰ. 서론
     1. 연구목적 및 구성
     2. 선행연구

Ⅱ. 임베디드 보험이란
     1. 임베디드 보험의 정의
     2. 임베디드 보험의 유형
     3. 임베디드 보험 사업모형 및 시장 구조

Ⅲ. 임베디드 보험 사례
     1. 해외 사례 및 주요 회사 전략
     2. 국내 사례

Ⅳ. 결론 및 시사점

· 참고문헌

· 부록

  • 연구보고서

    보험산업의 M&A에 관한 연구: 주요국의 M&A 추세 및 유인을 중심으로

    저자 : 김호경,박태준 1998-01



  • IBR(종간)

    금융위기에 대한 대책과 보험산업

    저자 : 김호경 1997-12


    I. 서론
    Ⅱ. 우리나라의 금융위기 현황
    1. 금융위기의 경제환경적 배경
    2. 금융위기의 원인 및 현황
    Ⅲ. 금융위기에 대한 정책적 대안
    1. 정부대책에 대한 개관
    2. 향후의 안정화 대책
    가. 국내 금융불안에 대한 대책
    나. 환율안정화에 대한 대책
    다. IMF 구제자금 협조의 영향과 대책
    라. 실물경제적인 대책
    Ⅳ. 보험산업에 대한 영향 및 대응방안
    1. 금융위기가 보험산업에 미치는 영향
    가. 생보산업의 판매 및 자산운용
    나. 손보산업의 판매 및 자산운용

    2. 금융불안기의 보험사의 경영 및 자산운용 전략
    가. 현금흐름(cash flow) 위주의 경영전략
    나. 자산운용전략
    3.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
    Ⅴ. 결론
  • IBR(종간)

    손해보험의 금융재보험 동향

    저자 : 이기형,김평원 1997-11

      金融再保險은 보험회사가 財務管理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再保險契約을 뜻하는 것으로서 초기에는 로이드에서 부분적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미국 등 많은 국가로 확산되어 사용되고 있는 새로운 再保險商品이다. 세계 재보험시장은 1980년대 중반 미국에서 배상책임보험의 集積損害(accumulative loss)로 인한 保險危機招來, 풍수재, 지진과 같은 巨大自然災害(catastrophic loss)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하여 Hard Market상태가 되었다. 이에 따라 보험회사는 擔保能力을 확대하고 인수한 보험리스크(insurance risk)를 헷지할 수단으로 保險派生商品(insurance derivatives)이 개발되었고 아울러 금융재보험도 비슷한 시기에 개발되었다.

      금융재보험은 일반재보험과는 달리 원보사의 필요시에 재보험자가 금융지원을 하고 추후 원보사가 이익이 발생하는 경우 되돌려 받는 금융지원요소가 가미되어 있다는 점이 다르다. 이렇게 생성된 금융재보험은 미국을 중심으로 신장하여 영국, 독일, 스위스, 버뮤다 등으로 확산하고 있는 추세이나, 보험규제와 회계상의 규제 등에 있어서 논란의 여지는 남아 있다.

      이와 같은 금융재보험의 세계적인 추세에 비추어 볼 때 이제 막 재보험거래가 자유화된 우리나라 재보험산업은 많은 과제를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보험시장은 미국, 영국 등과 같이 자유화된 시장이 아니고 이제 자유화를 위해 첫발을 내딛은 상태이다. 재보험의 경우 1997년 4월에 國內社 優先出再制度 와 保險料率求得에 관한 協定 이 완전폐기2)와 ENT제도의 폐지로 인해 1962년3)부터 정부의 재보험사 육성정책에 힙입어 성장한 국내 유일한 대한재보험사는 담보력과 금융재보험과 같은 신상품을 갖춘 해외 재보험사와 경쟁을 하여야 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보고서에서는 금융재보험의 의의 및 생성배경과 기능, 일반 재보험계약과의 차이점, 금융재보험의 계약형태 및 종류, 주요국의 금융재보험 동향을 분석하여 금융재보험의 향후전망을 살펴보고자 한다.


    I. 머리말
    II. 금융재보험의 의의 및 특징
    1. 금융재보험의 의의 및 생성배경
    2. 금융재보험의 특징
    3. 금융재보험의 유용성
    III. 금융재보험의 계약형태
    1. 담보위험
    2. 금융재보험계약의 형태
    IV.주요국의 금융재보험 동향
    1. 금융재보험 시장 현황
    2. 미국
    3. 유럽 및 영국
    4. 일본
    V. 금융재보험의 향후전망
    1. 금융재보험의 논란
    2. 금융재보험의 향후전망
    Ⅵ. 미국의 Financial Q/S Agreement Wording
  • 정책 / 경영보고서

    '98년도 보험산업 전망과 과제

    저자 : 보험연구소 1997-11


    Ⅰ. 경제, 금융 환경변화
       1. 거시경제 전망
          가. 국내경제
          나. 국제경제
       2. 금융경제환경
          가. 금융시장 개방
          나. 금융산업 제도개편

    Ⅱ. 보험환경변화
       1. 보험업무영역 확대
       2. 보험가격 자유화
       3. 모집채널 다양화
       4. 보험시장 개방
       5. 보험산업 진입자유화와 구조조정
       6. 기타


    Ⅲ. 보험산업의 현황
       1. 생명보험
          가. 수입보험료 증가세 지속
          나. 수지차 개선
          다. 자산운용수익율 하락의 지속
          라. 신상품개발 활발
          마. 주요정책 추진현황
       2. 손해보험
          가. 수익보험료 증가세 둔화
          나. 보험수지의 소폭개선
          다. 자산운용수익율의 소폭 감소
          라. 해외 재보험거래의 수지악화지속
          마. 주요 정책추진 현황


    Ⅳ. 보험산업의 전망
       1. 보험산업 주요지표
          가. 수입보험료
          나. 보험기여도
          다. 1인당 보험료
          라. 생, 손보 구성비
          마. 영업효율
          바. 총자산
       2. 생명보험
          가. 종합전망
          나. 생명보험 종목별 전망
       3. 손해보험
          가. 종합전망
          나. 손해보험 종목별 전망


    Ⅴ. 보험산업 주요 추진 과제
       1. 보험산업 일반
       2. 생명보험
       3. 손해보험


    Ⅵ. 부록
       1. 보험산업의 전망치
       2. 주요국의 손해보험 전망

  • 정책 / 경영보고서

    금리변동에 따른 보험회사의 금리리스크 분석

    저자 : 이원돈,노병윤,장강봉 1997-10

     우리나라의 보험산업은 질적 변화의 시기를 맞이하고 있다. 정부의 보호와 지도 아래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과거와는 달리 금융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보험시장의 개방폭이 확대되고 시장경쟁원리가 도입됨에 따라 보험 사업에 대한 책임경영이 강조되고 있다. 금융산업의 자유화와 국제화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그 일환으로 추진되고 있는 금리자유화 및 금융산업간의 업무영역 확대조치는 금융시장의 자유화를 가 일층 촉진시키고 있다.

     본 보고서는 금융시장의 자유화 및 개방화 등으로 향후 시장금리가 선진국 수준으로 하향 안정화 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보험상품에서 적용하고 있는 현행 예정이율의 적정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향후 금리리스크 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보험회사의 부실화를 방지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미흡하나마 본 보고서가 향후 예정이율 자유화의 추진방향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나아가서는 보험업계, 학계, 정책당국간의 활발한 논의의 계기가 되고 동시에 보험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가져오는데 일조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본 보고서를 작성한 보험연구소의 이원돈 부연구위원, 노병윤 선임연구원, 장강봉 연구원과 원고작성 과정에서 아낌없는 조언과 자문을 해준 보험연구소, 생명보험본부 및 손해보험본부 관계자들의 노고를 치하하는 바이다. 마지막으로 본 보고서의 내용은 연구담당자 개인의 의견이며 본원의 공식견해가 아님을 밝혀 둔다.

    Ⅰ. 서론
    1. 금리리스크의 개념
    2. 연구배경
    3. 주요현황
    4. 연구방법 및 범위

    Ⅱ. 금리리스크 분석
    1. 금리전망과 가정
    2. 개별상품의 금리리스크 분석
    3. 회사별 금리리스크 분석

    Ⅲ. 대응방안
    1. 예정이율별 손익분석
    2. 대응방안

    Ⅳ. 결론
  • IBR(종간)

    OECD 회원국의 기업연금제도

    저자 : 정재욱,정영철 1997-10


    Ⅰ. 서론
    Ⅱ. 기업연금제도의 일반적 특징
    1. 기업연금제도의 정의
    2. 기업연금제도의 필요성
    3. 기업연금제도 유형
    4. OECD 회원국의 기업연금제도관련 규제
    Ⅲ. OECD 회원국의 기업연금제도 운영현황
    1. 공적연금제도 운영현황
    2. 기업연금제도 운영현황
    3. 기업연금관련 주요규제 및 기업연금세제
    Ⅳ. OECD 회원국의 기업연금제도관련 현안문제 및 시사점
    1. 기업연금제도관련 현안문제
    2. 시사점
    Ⅴ. 참고문헌
  • 기타보고서

    미국의 보험재무규제 - 연구논문집 제1호 [보험산업의 규제와 감독제도의 미래]

    저자 : Harold D.Skipper,Robert W.Klein,Martin F.Grace 1997-06


  • IBR(종간)

    일산생명 파산과 시사점

    저자 : 정재욱,정영철 1997-05

      최근 범세계적으로 공정한 경쟁을 통한 금융시장의 효율성 제고가 중시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금융자유화와 국제화도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금융에 관한한 규제가 엄격하던 일본에서도 은행·증권·보험의 상호진출 촉진 등 「일본판 Big Bang」으로 불리는 금융개혁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최근 일본의 중견 생명보험회사인 日産生命이 대장성으로부터 업무의 일시정지명령을 받고 파산처리절차를 모색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는 일본에서 戰後 최초로 보험회사가 도산한 사례로 기록될 것이기 때문에 일본 국내외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도 금년에 금융개혁위원회가 발족되어 금융전반에 걸친 제도개혁을 논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국내외적으로 금융기관에 자율성을 부여하고, 금융시스템의 효율화·선진화 및 경쟁체제 구축을 도모하기 위한 규제완화가 진행되고 있다. 금융개혁 및 규제완화는 금융기관간 무한경쟁체제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험사의 리스크는 이전보다 크게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본 자료에서는 日産生命의 파산원인 및 향후 처리절차에 대한 분석을하고, 국내 보험회사에게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여 보고자 한다.


    I. 머리말
    II. 일산생명의 파산 개요
    1. 일본 생보업계의 현황
    2. 일산생명의 현황
    3. 일산생명의 파산원인
    III. 일산생명의 파산처리
    1. 일본 보험업법 등의 파산처리 관련규정
    2. 일산생명의 파산처리 과정
    IV. 일산생명 파산의 영향 및 시사점
    1. 일산생명 파산의 영향
    2. 우리나라 보험사에 대한 시사점
    [부록] 소화기(1926∼88년)의 일본 생명보험회사 퇴출사례
  • 연구보고서

    보증보험의 발전방안 연구

    저자 : 이희춘,신동호,이기형,이준섭 1997-05


    I. 서론


    II. 보증보험의 운영현황
    1. 보증보험의 의의 및 특성
    2. 보증보험의 발전과정
    3. 보증보험의 시장규모 및 상품운영현황
    4. 보증보험의 영업수지


    III. 보증보험의 문제점
    1. 보증보험의 안정성 측면
    2. 상품 및 요율 측면
    3. 보증보험의 영위형태 측면
    4. 소유구조 측면
    5. 유사보증기관과의 경쟁력 측면


    IV. 보증보험의 발전방안
    1. 보증보험영업의 안정성 제고
    2. 상품체계의 개선
    3. 요율체계의 개선
    4. 준비금 적립방법의 개선
    5. 소유구조의 개선
    6. 유사보증기관과의 경쟁력 제고


    V. 보증보험시장의 개방에 따른 발전방안
    1. 보증보험시장의 환경변화
    2. 보증보험시장 개방에 따른 대응방안


    VI. 결론


    참고문헌, 부록

  • 연구보고서

    생명보험 모집조직의 효율화 방안

    저자 : 김규승,박홍민,장재일 1997-03

      우리나라의 보험산업은 金融産業의 自由化 및 國際化에 따른 시장의 對外的開放과 금융산업간의 市場進入이 허용되는 綜合金融化 조치로 인하여 새로운 轉換期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對外的 市場開放의 일환으로 외국의 보험회사와 국내 소비자간의 直接去來가 가능한 Cross- border가 허용되고 獨立的 모집조직인 保險仲介人制度가 도입됨에 따라 국내외를 망라하는 명실상부한 競爭의 時代를 맞이하게 되었다.

      더우기, 생명보험산업은 金融産業間의 兼業主義 擴大로 인한 금융기관간의 市場確保 競爭과 金利自由化로 인한 收益率競爭의 심화로 인하여 마케팅의 중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環境變化에 對應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販賣組織의 再整備와 效率化를 통한 競爭力 强化가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生命保險産業의 販賣體制는 여전히 募集人에게 전적으로 依存하는 단조로움과 체계적인 마케팅能力의 不足 및 販賣機能의 脆弱으로 아직 선진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OECD加入國 수준의 모집제도로서 보험산업의 國際化 및 自由化에 부응할 수 있는 成熟된 段階에 이르렀다고 보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소에서는 先進化되고 競爭力 있는 生命保險 販賣體制의 確立과 募集機能의 效率化를 도모하기 위한 方案의 一環으로서, 국내 생명보험모집제도를 巨視的 側面에서 검토 분석함과 아울러 世界 保險市場의 생명보험판매에 대한 최근의 동향과 주요국의 보험모집제도에 관한 體系的인 分析을 통하여 국내 생명보험 모집조직의 效率化方案과 政策方向을 提示함으로써 국내 보험산업의 發展에 일조가 되고자 하였다.

      이 硏究報告書는 본원의 1996회계년도의 計劃課題의 하나로서, 보험연구소의 金奎承 硏究委員과 朴鴻旻 先任硏究員 및 張宰馹 硏究員이 함께 작성하였다. 그러나 본 보고서가 출간되기까지는 여러분들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다. 原稿作成過程에서 본 연구소의 招聘硏究委員으로서 아낌없는 助言과 諮問을 해준 翰林大學校의 權永俊 敎授 및 본원의 硏究諮問委員으로서 원고내용의 充實化에 寄與해주신 延世大學校의 金星泰 敎授와 成均館大學校의 鄭洪周 敎授께 감사드린다. 또한 원고내용에 대한 세심한 檢討를 통하여 未備點 補完에 많은 도움을 준 본 연구소의 吳英秀 博士와 丁奉恩 副硏究委員에게도 그 노고를 치하한다. 

      여러 면에서 미흡한 점이 없지 않을 것으로 생각되나 본 자료가 국내 생명보험산업의 募集制度 및 募集組織의 改善에 다소나마 寄與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 끝으로 이 연구보고서에 수록된 내용은 硏究者 個人의 見解이며 본 연구소의 공식 견해를 반영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제1장 서론


    제2장 환경변화와 생명보험산업

    제1절 시장외적 환경변화
    1. 인구통계적 환경변화
    2. 사회문화적 환경변화
    3. 경제적 환경변화

    제2절 시장내적 환경변화
    1. 생명보험가격의 자유화
    2. 보험산업의 국제화·개방화
    3. 금융산업개편
    4. 경쟁적 환경변화


    제3장 우리나라의 생명보험 모집제도 및 조직

    제1절 생명보험 모집제도의 발전과정
    1. 초창기(1945년∼1960년)
    2. 전환기(1961년∼1970년)
    3. 성장기(1971년∼1994년)
    4. 최근(1995년∼)

    제2절 생명보험 모집제도
    1. 생명보험 모집규제 및 감독체계
    2. 생명보험 모집관련법규

    제3절 생명보험 모집조직
    1. 생명보험 모집조직의 체계
    2. 생명보험 모집조직의 현황
    3. 생명보험 모집조직의 실적


    제4장 주요국의 생명보험 모집제도 및 조직

    제1절 미국
    1. 생명보험 모집제도의 발전과정
    2. 생명보험 모집제도
    3. 생명보험 모집조직

    제2절 영국
    1. 생명보험 모집제도의 발전과정
    2. 생명보험 모집제도
    3. 생명보험 모집조직

    제3절 프랑스
    1. 생명보험 모집제도
    2. 생명보험 모집조직

    제4절 독일
    1. 생명보험 모집제도
    2. 생명보험 모집조직

    제5절 일본
    1. 생명보험 모집제도의 발전과정
    2. 생명보험 모집제도
    3. 생명보험 모집조직


    제5장 국내외 생명보험 모집제도 및 조직의 비교검토

    제1절 국내외 생명보험 모집제도의 비교
    1. 생명보험 모집규제 및 감독체계
    2. 생명보험 모집관련법규

    제2절 우리나라 생명보험 모집제도 및 조직의 문제점
    1. 모집인조직의 문제점
    2. 대리점조직의 문제점
    3. 새로운 판매채널의 문제점


    제6장 우리나라 생명보험 모집조직의 개선방안

    제1절 기존 모집조직의 개선방안
    1. 모집인조직의 개선방안
    2. 대리점조직의 개선방안

    제2절 새로운 판매채널의 활성화방안
    1. 직접판매
    2. 창구판매
    3. 제휴판매
    4. 보험중개인제도


    제7장 결론


    참고문헌

41 42 43